2차 녹색시민강좌 4강_김병기기자 강의요약.pdf 4월 24일 녹색시민강좌 4번째 시간에는 김병기 오마이뉴스 기자님을 모시고독일과 네덜란드, 미국 운하의 생생한 현장모습에 대해 이야기 들었습니다.한나라당 경선 전 경부운하 논쟁으로 시끌했던 때 작년 2월, 오마이뉴스는 생태지평연구소와 공동으로 ‘경부운하, 축복일까 재앙일까’란 주제의 심층기획을 통해 경부운하 사업의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습니다.이를 위해 찬성측이 모델로 내세우고 있는 독일과 네덜란드를...
녹색시민
녹색연합 회원이 함께하는 ‘추억의 봄소풍’
참가신청은 녹색연합 홈페이지 알림일정란에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greenkorea.org
[2차 3강] 경제성 없는 운하, 환경재앙만 부른다
2차 녹색시민강좌 3강_운하,환경재앙부른다_공유_박진섭 생태지평 부소장.pdf 4월 17일 진행된 2차 녹색시민강좌 3강은 박진섭 생태지평 부소장님과 <경제성 없는 운하, 환경재앙만 부른다>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경제성 없는 운하건설로 인한 수질오염, 하천생태계 파괴, 홍수피해, 습지파괴 등의 실제 모습을 미국 운하를 통해 살펴보았습니다.우리나라의 강은 기울기가 심하고 하상계수(하천의 최소유량과 최대유량 차)와 계절에 따른 강수량...
[녹색명상] 청계산에서의 봄맞이 느린 산행
연두빛이 가득한 봄날 청계산으로 느린 산행을 다녀왔습니다.녹색연합 회원이시기도 한 숲해설가 정미경 선생님과 함께 한거북이처럼 느린 산행에서 봄기운을 몸속 가득히 채우고 왔습니다.연두, 아빠곰, 잎새, 나무, 토끼, 지리산소년 님들~모두모두 만나서 반가웠습니다~ ^^봄맞이 느린 산행 이야기 졸졸 개울을 따라 느린 산행 시작~ 숲해설가 정미경 샘과 함께너무 맛있었던 사과 한알~ 두알을 먹은 분도 있었죠?? ㅎㅎ 오~...
[2차 2강] 경부운하 경제적 타당성 없다
4월 10일, 2차 녹색시민강좌 2강 시간에는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통해 경부운하의 허구성을 속시원히 지적해주신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홍종호 교수님과 함께 하였습니다.우선 운하찬성론자들의 주장을 살펴보았습니다. 1. 스크류가 돌면 물이 깨끗해진다.2. 바지선이 서울에서 부산을 거쳐 바로 일본으로 간다.3. 물건을 하루 일찍 만들어 미리 운송시키면 된다.4. 산은 높고 바다는 멀다. 연약한 사람은 못 간다. 내륙운하는 흔들리지 않는다. 쉽게 갈 수 있다.5. “배에서 배”로 바로...
[2차 1강] 배가 산으로 갈까
2차 녹색시민강좌 1강_배가산으로갈까_서재철 녹색연합 녹색사회국장.pdf 지난 4월 3일 2차 녹색시민강좌 <시민의 눈으로 바라보는 한반도 대운하>를 시작하였습니다.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한반도 대운하의 사회적, 생태적 영향에 대해시민들과 함께 나누고자 하는 시간으로 마련된 2차 녹색시민강좌의 첫 강의는녹색연합 녹색사회국의 서재철 국장님이 하셨습니다.배가 산으로 갈까?서울의 한강과 부산의 낙동강을 연결한다는 한반도 대운하는이 두 강을 연결시키기 위해...
[마감] 가족과 함께하는 봄맞이 느린 산행
[마감] 2차 녹색시민강좌 – 시민의 눈으로 바라보는 한반도 대운하
제2차 녹색시민강좌- 시민의 눈으로 바라보는 한반도 대운하 -
[1차 5강] 착한 도시가 지구를 살린다
5강 정혜진 영남일보기자 강의요약.hwp 지난 2월 27일 기후변화 연속강좌 마지막 시간이 혜화동 녹색교육센터에서 진행되었습니다.이날은 <착한도시가 지구를 살린다>의 저자 정혜진 영남일보 기자님과 함께 하였습니다.도시가 지구를 죽이고 있는 상황에서 ‘착한도시’라니...하지만 이는 도시에서 살고있는 우리들의 현실생활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였습니다.환경에 대해 별 관심없는 평범한 시민이었던 정혜진 기자님은 어느날 자가용 대신 자전거를 이용하게 되면서 지구온난화와...
베지투스와 함께한 밀랍초 만들기~
지난 12일에 베지투스와 함께 여성환경연대에서 밀랍초 만들기에 참석했습니다.녹색연합 채식모임인 베지투스에는 신년단식에 참가하셨던 영실님과 미라님이 있어얼굴도 보고 밀랍초도 만들고~ 님도 보고 뽕도 따고~하여간 반가운 분들과 즐거운 시간 함께하고 왔습니다...두분 다 건강해 보시죠? 여기서 잠깐~ 밀랍초에 대해 알아볼까요? ▲ 여러가지 밀랍초 (사진출처 빈도림꿀초 http://honeycandle.co.kr)밀랍이란,, 벌이 신진대사를 통해 만들어내는 물질로 벌집의...
[1차 4강] 에너지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4강 박승옥 시민발전대표 강의요약.hwp 2월 20일 수요일에 진행된 녹색시민강좌 네번째 시간..이 날은 박승옥 (유)시민발전 대표님과 함께 에너지 소비만 해오던 시민들이 에너지 생산자 입장으로 변화해가는 과정에 대해 이야기 나누었습니다.석유정점에 대한 논쟁석유정점은 곧 식량정점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자본주의 사회의 단기적 성과에만 집착하는 정책시스템으로 장기계획인 저에너지 정책을 외면하는 대한민국의 현실햇빛발전, 바람, 바이오가스, 소수력 등 재생가능에너지의 실제 사용 등실제...
[기후변화 연속강좌 – 1] 석유, 과연 인류에게 축복일까?
김재명의 '석유, 욕망의 샘'녹색연합은 <프레시안>과 공동으로 '기후 변화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라는 주제의 연속 강좌를 개최하고 있다. 1월 23일부터 2월 27일까지 다섯 차례에 걸쳐 매주 수요일 서울 혜화동 녹색교육센터에서 개최되는 이 연속 강좌는 기후 변화를 둘러싼 여러 가지 쟁점을 살펴보고, 대응 방향을 모색해보는 자리이다.이 강좌는 14일부터 매주 목요일 <프레시안>에 연재된다. 연재 순서는 김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