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군(郡)의 열두달을 읽고 /놀밥 박신영회원

2017년 3월 23일 | 녹색소식

[알드레오 폴드의 모래군(郡)의 열두 달을 읽고]

보전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생태인문학책읽기모임 <놀밥> 회원 박신영

 

KOR9788985277327나는 위스콘신을 알지 못한다. 위스콘신은 미국 중북부의 주로 습윤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는 곳이고, 평균기온은 6.4℃ 평균 강수량은 821mm라는 작은 조각의 정보만 찾아 봤을 뿐이다. 레오폴드는 위스콘신 중부 위스콘신 강 주변의 모래땅을 가리켜 모래군(郡)이라 불렀다.

그는 이 곳에서 1935년부터 1948년 사망하기 전까지 매주 주말에 가족과 함께 지내면서 열두 달 계절에 맞추어 자신이 이름 붙인 허름한 집 누옥에서 보고 하는 것들을 그렸다. 일월부터 십이월에 걸쳐 많은 생명들이 살고, 죽고 나타나고 돌아가기를 반복했는데 계절의 시간은 흐르고 생명들은 변화했다. 레오폴드가 그려낸 모래군의 모래땅은 황량하지도 비어있지도 않은 듯했다. 그는 많은 날짐승과 들짐승 그리고 풀들과 나무들을 자신이 가진 장부상의 땅보다 훨씬 넓은 땅에서 깊은 만남을 가졌다.

레오폴드는 서문에서 이 책은 야생 세계 없이 살아갈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환희와 딜레마를 담은 것이라 밝혔다. 소수파와 반대파로 가른 레오폴드의 기준에 의하면 나는 소수파에 속한다. 천만 다행이다.

나는 벼락을 맞아 생을 마친 참나무에게 마음을 빼앗겼다. 80년을 산 참나무는 80년의 올바른 역사를 가슴에 남김없이 새겼다. 인간사회의 여러 일들을 참나무는 진실 되게 알고 있다. 제각각 진실 된 역사가라고 떠벌리는 사람들에 비하면 참나무에 그려진 것은 너무나 명백하다. 담백하고 진실어린 그래서 감히 반박할 수 없는 올바른 역사가 있다. 그 역사는 순환하는 또 다른 생명으로 맞닿아 있어 참 다행이다. 이 땅위에 살아가는 참나무에게 박수를 보낸다. 또한 이미 생명을 다한 참나무에게도.

손에 도끼를 쥐고 도끼에 대해서 말하는 레오폴드는 도끼를 거두는 연장이라고 했다. 그리고 나무를 찍을 때 자신의 땅에 서명을 하는 겸허함을 아는 사람만이 도끼를 써야 한다고 했다. 이 얼마나 멋진 일인가! 거두어들인 나무가 숲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을 순환이라고 하고 보전이라는 말로 대신할 수 있을까 생각해 본다. 보전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현명한 행동은 무엇인가? 보전이라는 단어는 내게 어지럽게 다가온다. 레오폴드는 사냥을 즐긴 것 같다. 책의 앞장에는 사냥하는 중에 휴식을 취하는 레오폴드의 사진이 있다. 그 시대의 문화가 사냥은 스포츠라고 생각한 것을 겸허히 받아들인다면… 배를 타고 혹은 강가에서 하는 낚시를 아무렇지도 않게 보는 나는 사냥은 참으로 낯설다. 그리고 사냥 후, 사냥꾼의 행동들이 궁금하다. 참나무는 알지도 모르겠다.

늑대를 대대적으로 사냥한 사람들은 더 많은 사슴들을 보호하지 못했다. 늑대의 울부짖음과 사슴의 신음소리, 작고 어린 나무가 침묵 속에 죽어가는 소리만 들었을 뿐이다. 사람들이 사슴들을 위해 무엇인가를 할 수 있다는 애초에 잘못된 생각의 결과이다. 레오폴드는 사람들이 하는 생각이 산과는 많이 달랐던 것을 뒤 늦게 알았다.

그러나 레오폴드는 과학이 알지 못하는 동물의 행동권을 알고 있는 것 같았고, 소나무와 이야기를 나무며, 박새에게 평화를 선물했다. 이것들은 나에게도 가능할까라는 질문을 해본다. 도시에서 나고 자라고 늙어가는 나는 그들과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함께 해야 하는 걸까?

장소성!!! 이것은 생태적인 감수성을 품고 생태적인 지식을 높이는 일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을까? 고백하건데, 나는 요즘 생태교과서를 가지고 싶어 안달이 나 있다.

 

※녹색교육센터에서는 창립 열돌을 맞이하여 20명의 회원과 함께 생태인문학 책읽기 모임 <놀밥>을 매월 진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