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창의형 숲프로젝트 지도자 양성과정에 함께하실 숲선생님을 모집합니다.
기존의 숲교육을 벗어나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으로 학생들을 만날 준비를 시작합니다.
오래만나고, 자주 만나고 그래서 더 새로운 숲교육이 궁금하신 선생님들 여기 함께 해주세요.
문의. 숲프로젝트팀. 02.499.6153
제2기 창의형 숲프로젝트 지도자 양성과정
□ 배경
– 장소별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태적 감수성과 숲에 관한 지식을 배우는 교육에 머무르고 숲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은 부족한 상황.
– 일회성을 넘어 지속성을 가진 숲프로젝트 양성과정을 통해 교수자가 먼저 프로젝트 학습과 익숙해지는 기회 필요.
– 양적 확대를 넘어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확대가 필요함.
– 숲해설가들에 대한 환경교육 기초과정은 범람하고 있지만 프로그램 심화과정이 부재한 상황 속에서 심화과정의 일환으로 전반적으로 프로그램 기획 능력 향상에 도움.
□ 목표
문제해결 능력 등 21세기 필요한 기능들을 향상시키기 위한 숲프로젝트 지도자 양성
□ 개요
– 기 간 : 2013년 3월27일 ~ 7월24일 매주 2, 4주 목요일 10시~12시반(2시간 반),
마지막 9회차 수업은 워크샵으로 진행(10시~16시, 6시간)
– 장 소 :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 숲센터 4층 부피에룸(야외 수업시 성미산)
– 참여대상 : 숲관련 자원활동모임에서 추천된 리더급 자원활동가 (총 20명)
숲교육 활동 관련 자원봉사자 모임’에서 3년 이상 활동하신 분 중 서류 심사후 20명 선정하여 진행(서류 제출시 경력 증명서 증빙)
– 주 관 : (사)생명의숲국민운동
– 후 원 : (재)한국숲
– 교육기관 : 한국환경교육연구소
– 참 가 비 : 1인당 10만원 (입금계좌 농협 1127-01-129305 예금주 : 생명의숲국민운동)
– 참가신청 : 참가신청서를 작성후 권정희(litree7@hanmail.net)으로 제출. 3월10일까지.
□ 일정
– 참가신청 : 3/24(월)까지 개인별 신청서 제출
– 오리엔테이션 : 3/13(목) 오전 09:30
– 수업 : 3/27, 4/10, 4/24, 5/8, 5/22, 6/12, 6/26, 7/10 (8회)
– 워크샵 : 7/24 (1회)
□ 강사
-주강사 : 이재영(공주대 환경교육과 교수) / 보조강사 : 한국환경교육연구소 연구원2인
□ 프로그램
주수 |
주요 내용 |
활동 내용 또는 사례 |
1주 (3/27) |
숲체험 교육의 의미와 한계 숲중심에서 사람중심으로: 생애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이란? |
나의 숲교육 돌아보기 다움 카페 가입하기 |
2주 (4/10) |
문제 또는 주제의 발견 – 기존 프로젝트의 문제들과 발견과정 – 배움은 늘 새로운 질문과 함께 시작된다. |
프로젝트 사례 소개 작년 사례 살펴보기 (세계평화의숲?) |
3주 (4/24) |
프로젝트와 배움의 공동체 – 배움에 관한 3가지 관점: 행동, 인지, 구성주의 – 배움은 대화를 통한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
모둠 정하기 종이비행기 날리기 |
4주 (5/8) |
프로젝트 실행 계획 작성 – 프로젝트는 문제해결과정이다. – 시스템적 관점 |
프로젝트 일지 작성하기 목화 프로젝트 거미집 프로젝트 |
5주 (5/22) |
프로젝트의 핵심: 관찰과 기록 – 어떻게 볼 것인가? 오래 그리고 꼼꼼히 – 계획-실행-관찰-기록-문제-성찰의 순환 구조 |
까치집 프로젝트 철원 똥 프로젝트 |
6주 (6/12) |
통합적 접근 – 숲을 보는 다양한 관점들: 생태, 경제, 사회, 문화 – 지속가능발전교육과 환경(숲)교육 |
상주 백원초 배 프로젝트 서천 하구둑 프로젝트 |
7주 (6/26) |
의미의 발견 – 의미의 의미와 중요성 – 나와 ‘그것’과의 관계를 드러내다. |
철원 자서전 쓰기 사례 철원 두루미 가족 프로젝트 |
8주 (7/10) |
산출물 제작1 – 프로젝트에서 산출물 만들기의 의미 – 프로젝트 학습과 문화예술교육의 연계 – 창의성과 프로젝트 학습 – 프로젝트 활동 지도시 유의점들 |
산출물 기획안 발표 무당벌레 프로젝트 산출물 시안 발표 벌집 프로젝트 |
9주 (7/24) |
8시간 실습 – 프로젝트 발표 – 진행과정 평가 및 소감 나누기 |
슬라이드쇼 모둠별 20분 발표 평가지 작성 |
총 |
32시간 |
|